-
2025년 청년을 위한 지원 제도가 대폭 확대됩니다.
월세, 저축, 주거 이전 비용까지 정부와 지자체에서 청년을 위해 준비한 4가지 주요 지원사업을
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 필요한 혜택만 챙기면 1년간 수백만 원 절약도 가능합니다.
목차
- 청년월세 지원금: 매달 최대 20만 원 지원
- 청년내일저축계좌: 3년간 최대 1,440만 원 저축 가능
- 희망두배청년통장: 서울시 청년만을 위한 2배 매칭 저축
-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: 이사에 최대 40만 원 실비 지원
1. 청년월세 지원금: 매달 최대 20만 원 지원
정부에서 시행하는 대표적인 청년 주거지원 사업으로
만 19세~34세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12개월간 월 20만 원의 월세를 지원합니다.- 지원 조건: 중위소득 60%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
- 지급 방식: 계좌이체 (선정 후 월별 지원)
- 2025년 기준 신청 일정은 아직 미공개, 2024년 기준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자세한 신청 일정과 지역별 지원 차이 확인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. 청년내일저축계좌: 저소득 청년을 위한 1:3 매칭 저축
매달 10만 원씩 3년 동안 저축하면, 정부가 매달 30만 원을 추가 적립해
최대 1,440만 원을 모을 수 있는 자산형성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- 대상: 근로 중인 만 19~34세 저소득 청년
- 조건: 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, 근로·사업소득 월 50만 원 이상
- 예치 기간: 3년 (매월 10만 원 저축)
- 지원금 사용: 만기 시 자립 목적(창업, 주거, 교육 등)으로 사용 가능
현재 2025년 1기 접수가 마감되었으며, 2기 접수 일정은 추후 공고 예정입니다.
3. 희망두배청년통장: 서울시 청년만을 위한 2배 매칭 저축
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
서울시에서 같은 금액을 매칭해 주는 제도로,
2년간 최대 1,440만 원, 3년간 최대 2,160만 원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.- 대상: 서울시 거주 청년(만 18~34세), 근로자
- 조건: 가구 중위소득 150% 이하, 본인 근로소득 월 280만 원 이하
- 신청 시기: 2025년 3월~4월 중 예상
- 사용처: 주거, 교육, 창업 등 지정 용도 사용
서울시민만 신청 가능하며, 신청 경쟁률이 높아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.
4.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: 최대 40만 원 실비
2025년부터 서울시에서 새롭게 시작된 제도로,
서울로 전입했거나 서울 내에서 이사한 청년에게 이사비와 중개수수료를 실비로 지원합니다.- 대상: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로 이사한 만 19~39세 청년
- 지원금액: 중개보수비 및 이사비 최대 40만 원(생애 1회)
- 조건: 전입신고 완료자,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- 신청기간: 상반기 4월, 하반기 10월 예정
서울에서 새로 독립하거나 이사 계획이 있는 청년이라면 꼭 확인해야 할 지원입니다.
혜택은 신청한 사람의 몫입니다
청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가 준비되어 있지만,
신청 기간을 놓치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한 번에 모든 제도를 신청할 수는 없지만,
자격에 맞춰 순차적으로 참여하면 연간 수백만 원의 실질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각 제도별 신청 자격 체크 및 접수 일정은 해당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.
필요한 도움은 지금 신청해서 챙겨보시기 바랍니다.'놓치면 손해보는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, 5년 못 채우면 손해일까? (6) 2025.08.03 인지세 납부, 계약서 쓸 땐 꼭 챙겨야 할 세금입니다 (2) 2025.08.02 여름휴가, 연차일까 아닐까? 헷갈린다면 꼭 봐야 할 정리 (2) 2025.07.30 2025년 여름 전기요금 누진세 완화, 300kWh까지 저렴하게 사용하는 법 (4) 2025.07.29 부모급여 첫 달에 200만 원? 왜 더 들어왔는지 알려드립니다 (0) 2025.07.25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! 2025년 서울시 최대 40만원 현금 지원받는 방법 (2) 2025.07.24 해파리에 쏘였을 때,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부터 먼저 확인하세요 (4) 2025.07.21 2025학년도 2학기 학자금대출 신청 시작, 주말에도 가능합니다 (2) 2025.07.20